리그 오브 레전드(롤)나 발로란트 설치 후 함께 설치되는 라이엇 클라이언트. 삭제하려고 하면 “앱이 실행 중이라 삭제할 수 없습니다”라는 메시지가 뜰 때가 있습니다. 실제 실행 중이 아닌데도 이러한 메시지가 나올 때의 확실한 해결 방법을 안내드립니다.
1.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종료
라이엇 클라이언트는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Ctrl + Shift + Esc 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 실행
- ‘RiotClientServices.exe’ 또는 ‘RiotClientUx.exe’ 찾기
- 해당 프로세스를 선택 후 작업 끝내기(End Task) 클릭
- 이후 삭제 재시도
2. 시작 프로그램에서 제거
PC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설정 확인이 필요합니다.
- 작업 관리자 → 시작프로그램 탭
- ‘Riot Client’ 비활성화
- PC 재부팅 후 삭제 시도
3. 안전 모드로 부팅 후 삭제
일반 모드에서 삭제가 되지 않을 경우, Windows 안전 모드로 진입해 시도해보세요.
- Windows + R → ‘msconfig’ 입력
- ‘부팅’ 탭 → ‘안전 부팅’ 체크 후 재부팅
- 안전 모드에서 제어판 또는 설정에서 라이엇 클라이언트 삭제
- 삭제 완료 후, 다시 msconfig에서 안전 부팅 체크 해제
4. 제3자 삭제 프로그램 이용 (선택)
레지스트리나 잔여 파일까지 완전히 제거하고 싶다면 다음 프로그램을 사용해보세요.
- Revo Uninstaller – 잔여 레지스트리, 파일까지 정리 가능
- IObit Uninstaller – 강제 삭제 기능 제공
5. 삭제 후에도 잔여 파일 정리
- ‘C:\Riot Games’ 폴더 수동 삭제
- ‘C:\ProgramData\Riot Games’ (숨김 폴더) 확인 후 삭제
- Windows 검색에서 ‘Riot’ 검색 후 잔여 폴더 정리
라이엇 클라이언트는 게임과 함께 자동 실행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 구조입니다. 단순 종료로 삭제가 되지 않는다면 작업 관리자 종료 → 안전 모드 삭제 순서대로 시도해보세요. 필요 시 강제 삭제 툴까지 활용하면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.